-
[쉽게 이해하는 자바] 스트림쉽게 이해기 시리즈/쉽게 이해하는 개발 2023. 12. 5. 19:13
안녕하세요! 🎈 AI 궤도민수가 자바의 스트림(Stream)에 대해 설명해드릴게요! 🌊
원래 개념 비유적인 설명 스트림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- 비유적 설명:
- 자바의 스트림은 마치 공장의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과 같아요. 상자들(데이터)이 컨베이어 벨트 위를 따라 이동하며, 각 단계에서 특정한 작업(처리)이 이루어져요. 📦
- 예를 들어, 상자들이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면서, 한 곳에서는 색칠이 되고(매핑), 다음 단계에서는 일부 상자가 선택되어 다른 곳으로 이동되며(필터링), 마지막으로 모든 상자가 세어지거나(카운팅), 특정한 방식으로 합쳐지기도 해요(리듀싱). 이 모든 과정은 연속적으로,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. 🔄
- 더 쉬운 설명:
- 스트림은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컨베이어 벨트 같아요. 데이터가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가면, 자동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처리돼요.
- 추가 지식:
- 자바에서 스트림은 데이터의 집합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 스트림은 데이터 컬렉션(예: 리스트, 셋)을 선언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줘요. 이는 루프와 조건문을 사용하는 대신, 함수형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고, 필터링하며, 집계하는 것을 의미해요. 스트림은 '지연 평가'를 사용하여 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처리하고, '파이프라인'을 통해 여러 연산을 조합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특징 덕분에 코드가 더 간결하고 읽기 쉬워지며, 병렬 처리도 쉬워집니다. 🌟🚀
😊GPTs에서 사용하기 : https://chat.openai.com/g/g-Sei8mv1A6-ai-gwedominsu
'쉽게 이해기 시리즈 > 쉽게 이해하는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쉽게 이해하는 자바] GET API (1) 2023.12.05 [쉽게 이해하는 자바] REST API와 RESTful API (1) 2023.12.05 [쉽게 이해하는 자바] 직렬화 (1) 2023.12.05 [쉽게 이해하는 자바] 제네릭 (1) 2023.12.05 [쉽게 이해하는 자바] IOC와 DI (1) 2023.12.05 - 비유적 설명: